Skip to content
Ethan Sup's log
Github

웹 접근성을 한 번 생각해보기

a11y2 min read

프론트엔드 개발자들은 개발을 배워가면서 웹 접근성과 의미론적인 웹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을 것이다(없다면 이 포스트에서 약하게나마 알아보자).

웹 접근성은 모든 사용자들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웹 사이트 또는 웹앱을 만드는 것이다. 장애인들도, 일시적으로 장애를 가진 사람에게도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설계해야 된다고 볼 수 있겠다. 하지만 어떤 장애인들을 위해 어떻게 서비스를 만들어야 하는지 모르는 사람들과 "장애인들이 우리의 서비스를 쓸까?"라는 의문이 들 정도의 서비스가 작은 경우의 개발자들은 "굳이 웹 접근성을 고려해야 할 까?"라는 의문이 들 수도 있다. 하지만 세계보건기구는 세계 인구의 15%가 스스로 장애를 갖고 있다고 추정하고 있으며, 장애를 가진다는 것이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흔한 일이다(ex. 색맹, 시력 저하, 일시적인 신체의 기관 마비...). 그래서 우리는 장애인들(어쩌면 장애를 가진 고객일 수도 있죠!)을 위해서 웹 접근성을 고려해야 하고, 우리나라에는 아직 없지만 다른 나라에서 웹 접근성을 고려하지 않는 경우 위법이 될 수도 있기에 타 국가에 서비스가 진출하는 경우 웹 접근성을 고려하지 않았다면 지금이라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웹 접근성을 한 번 생각해보자.

Community Service

위의 사진은 현재(2022.10.03) 동작하고 있는 커뮤니티 서비스의 헤더이다. 이런 헤더를 만들 때 고려해야 할 요소는 무엇일까?

outline: none;을 피하라

1* {
2 outline: none;
3}

디자이너의 요청으로, 혹은 이쁘지 않아서 focus되었을 때 outline이 나오는 것을 없앨 수도 있다. 하지만 이는 키보드 접근성을 낮출 뿐만 아니라, 많은 사용자들이 불편을 겪게 하는 UX의 시발점이 될 수 있다. 이쁘지 않아서 outline을 한 경우에는 focus되었을 때 outline을 대체하여 focus되었다는 것을 알려주는 css가 필요하다. 아니라면 마우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만 치중되어 있어 웹 접근성을 떨어트리는 요인이 될 수 있다.

focus되었을 때(현재는 mouseEnter시에만 된다) 서비스 버튼 하단에 border가 생기는데 outline을 없앨 경우 이를 하위 메뉴에도 사용하는 것도 방법 중에 하나이다.

모든 요소에 키보드로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

가장 중요하고 어려운 웹 접근성 고려사항 중 하나이다. 헤더를 만들게 될 경우 여러가지 방법으로 헤더를 만들게 될텐데 이 경우 모든 링크/버튼에 키보드로 접근이 가능해야 한다. 즉, 키보드 접근을 위해서 추가 로직이 필요할 수 있다는 말이다. 위의 헤더에서는 "서비스"나 "공지사항" focus되었을 때 밑의 하위 메뉴가 펼쳐지는데 그것에 접근 가능해야 한다는 이야기이다.

텍스트와 배경의 색상의 대비가 명확해야 한다.

Adobe Color

색상 대비가 높지 않아 읽을 수가 없거나 무슨 요소인지 모를 경우도 있다. 이를 위해서 Adobe Color라는 색상대비 검사/색맹 안전 검사를 해주는 검사기가 있으므로 사용하여 색상 대비가 높은지, 색맹에 대해 안전한지 확인하면 좋다.

애니메이션 비선호? 다크 모드?

윈도우에는 Windows에서 애니메이션 표시, Mac에서는 Reduce motion이라는 설정이 있다. 이 설정은 PC에서 사용되는 애니메이션을 없애준다. 하지만 웹 페이지에서는 따로 애니메이션을 비활성화 하는 것을 설정해주어야 한다. CSS에는 @prefers-reduced-motion이라는 media query 속성이 존재한다. 이 속성을 통해 애니메이션을 줄여달라는 설정을 껐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외에도 다크모드 구현할 때 한 번이라도 봤을만한 @prefers-color-scheme이라는 속성이 있다. 이 색상 구성을 고려하는 것 또한 웹 접근성을 높이는 한가지 방법이다. 즉 웹 접근성을 높이는 것은 어떻게 보면 사용자의 UX를 향상시키는 방법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웹 접근성에 필요한 요소들을 모두 기억하고 개발에 적용할 수는 없다.

하지만 이런 웹 접근성에 필요한 요소들을 모두 기억하면서 개발에 적용할 수 없다. 이를 위해서 테스트가 있다.

lighthouse

가장 유명한 것으로는 lighthouse test가 있다. lighthouse의 테스트는 간단한 접근성만 감지하므로 깊은 테스트는 직접 하는 것이 좋다.

Lighthouse는 수동 테스트외에 CI도 제공하므로 쉽게 PR마다 Lighthouse 결과를 만들 수 있다.

이외에도 수동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는 도구로 HTML CodeSniffer, aXe, Accessibility Insights, WAVE 등이 있다.

코드 상에서 오류를 탐지할 수 있는 eslint/jsx-a11y 또한 존재하니 적용하는 편이 좋다.

© 2023 by Ethan Sup's log. All rights reserved.
Theme by LekoArts